2025년 4월 7일 월요일

시편 73편 28절 / Psalm 73:28




시편 73편 28절

하나님께 가까이 함이 내게 복이라 내가 주 여호와를 나의 피난처로 삼아 주의 모든 행사를 전파하리이다

하나님께 가까이 함이 내게 복이라

하나님과 가까워지는 것, 즉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 나에게 가장 큰 복(행복, 기쁨, 만족)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세상적인 성공이나 물질적인 풍요보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내가 주 여호와를 나의 피난처로 삼아

주 여호와(하나님)를 나의 피난처, 즉 어려움과 고난으로부터 나를 보호하고 지켜주는 안전한 곳으로 삼겠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께 의지하고 신뢰하며, 그분 안에서 안전함을 느끼겠다는 고백입니다.

주의 모든 행사를 전파하리이다

하나님께서 행하신 모든 일, 즉 하나님의 놀라운 능력과 은혜, 사랑과 정의를 세상에 널리 알리겠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께 받은 은혜에 감사하며, 그분을 증거하는 삶을 살겠다는 다짐입니다.

이 구절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삶의 중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통해 진정한 행복과 안전을 얻고, 그 은혜에 감사하며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세상에 전하는 것이 신앙인의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함을 보여줍니다. 즉, 하나님을 가까이하고 그분께 의지하며, 그분의 사랑을 전하는 삶이 가장 복된 삶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


Psalm 73:28
I will take the Lord as my refuge, and I will spread the word of all your events
Being close to God is a blessing to me
Being close to God, that is,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God, means the greatest blessing (happiness, joy, and satisfaction) to me. This emphasizes that relationships with God are more important than global success or material abundance.
I will take the Lord as my refuge
It means that I will make the Lord (God) my refuge, a safe place to protect and protect me from difficulties and hardships. It is a confession that I will rely on and trust God, and feel safe in him.
I will spread all the events of the state
It means to let the world know all that God has done, that is, God's incredible power, grace, love and justice. It is a commitment to live a life of being grateful for the grace received from God and proving him.
This phrase emphasizes that the relationship with God should be the center of life. It shows that the goal of a believer's life should be to gain true happiness and safety through intimate companionship with God, to appreciate his grace, and to convey God's greatness to the world.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a life of being close to God, relying on him, and conveying his love is the most blessed life.




여가를 목표 없이 보내지 마라 -쇼펜하우어/Don't spend your leisure time aimlessly - Schopenhauer

 












여가를 목표 없이 보내지 마라 -쇼펜하우어

Don't spend your leisure time aimlessly - Schopenhauer


"대부분의 사람은 목표 없이 보내는 시간을 못 견뎌 한다. 여가 역시 단조롭고 따분하게 보낼 뿐이라면, 이내 일상의 걱정 같은 무거운 마음이 들기 마련이다


인간은 목표 없는 시간을 견디기 힘들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여가조차도 목표 없이 보내면 단조롭고 따분해질 수 있기에 결국 마음의 짐이 된다는 경고입니다. 즉, 의미 있는 목표를 가지고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목표가 없으면 여가는 오히려 심리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가 활동 또한 의미 있는 방향으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할 때 우울함이나 지루함에서 벗어나 보다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명언은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비관적 세계관을 반영합니다. 그는 인간의 존재와 고통, 그리고 욕망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했으며, 목표 없는 삶의 허무함을 경고했습니다. 그의 철학 속에서 여가는 단순한 휴식이 아닌, 더 나은 삶을 위한 기회로 여겨집니다.






============================================

Don't spend your leisure time aimlessly - Schopenhauer

"Most people can't stand the lack of time they spend without goals. If you're just going to spend your leisure time monotonously and boringly, you'll soon feel heavy, like daily worries."
Emphasize that humans can't stand time without goals. It's a warning that even leisure can be monotonous and boring if you spend time without goals, so it's a burden on your mind. In other words, it sends a message that it's important to spend time with meaningful goals.
Without goals, leisure can become a psychological burden.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plan and practice leisure activities in a meaningful direction. This way, you can enjoy a richer life than depression or boredom.
This quote reflects the pessimistic worldview of the German philosopher Schopenhauer. He provided in-depth insight into human existence, pain, and desires, and warned of the futility of a life without goals. In his philosophy, leisure is regarded as not just a rest, but an opportunity for a better life.

2025년 4월 2일 수요일

화엄경(華嚴經)에서 보살의 존재와 그 공덕(功德), 역할, 그리고 깨달음/The existence, 功, role, and enlightenment of Bodhisattva in the Hwaeomgyeong (華嚴經경) 嚴

 





보살이 지니고 있는 공덕은 다할 수가 없으며 중생을 교화하고 인도하는 것도 다할 수가 없다. 보살은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해 있는 것도 아니며 도달해 있지 않은 것도 아니다. 집착을 떠나 있는 것도 아니며 집착을 떠나 있지 않은 것도 아니다. 세간의 일도 아니며 중생의 일도 아니다



Bodhisattvas cannot fulfill their contributions, nor can they educate and guide sentient beings. Bodhisattvas have neither reached nor reached their ultimate enlightenment. It is not out of obsession, nor is it out of obsession. It is not a matter of the world, nor of common sorts






이 구절은 **《화엄경(華嚴經)》**에서 보살의 존재와 그 공덕(功德), 역할, 그리고 깨달음의 상태에 대한 깊은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볼게요.



This phrase contains a deep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 Bodhisattva, its 功, its role, and its state of enlightenment in **《화嚴경》** 嚴.

Let's take a look at them one by one.




1. "보살이 지니고 있는 공덕은 다할 수가 없으며 중생을 교화하고 인도하는 것도 다할 수가 없다."

보살이 수행을 통해 쌓은 공덕은 무한하며, 그로 인해 중생을 교화하고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일도 끝이 없다는 뜻입니다.

즉, 보살의 자비심과 그 공덕은 무한하기 때문에, 모든 중생이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보살의 활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1. "The merits of the Bodhisattva cannot be fulfilled, nor can it be done to educate and guide sentient beings."

This means that the Bodhisattva's achievements through practice are infinite, and as a result, there is no end to edifying and guiding sentient beings to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because the Bodhisattva's benevolence and virtue are infinite, it means that the Bodhisattva's activities do not stop until all sentient beings are enlightened.




2. "보살은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해 있는 것도 아니며 도달해 있지 않은 것도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불이(不二)", 즉 이분법을 초월한 경지입니다.

  • 보살은 이미 깨달음을 얻었지만, 중생을 돕기 위해 일부러 그 경지를 완전히 드러내지 않습니다.
  • 그러므로 완전히 깨달음을 얻었다고도 할 수 없고, 그렇다고 깨닫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 이는 "불이법(不二法)", 즉 "깨달음과 미혹이 본래 둘이 아니다"라는 대승불교(大乘佛教)의 사상을 반영합니다.

2. "The Bodhisattva is neither reaching nor reaching the ultimate enlightenment."

What's important here is the "二" that transcends the dichotomy.

• The Bodhisattva has already gained enlightenment, but he deliberately does not fully reveal the state to help sentient beings.
•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you have been fully enlightened, nor does it mean that you have not.
• This reflects the idea of Mahayana 教 乘, which is the "二 of Buddha," that is, "awareness and mystery are not inherently two."



3. "집착을 떠나 있는 것도 아니며 집착을 떠나 있지 않은 것도 아니다."

보살은 집착을 초월한 존재이지만, 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일부러 세상에 남아 활동합니다.

  • 즉, 보살은 본래 해탈한 존재이지만, 중생을 위해 집착을 초월한 상태와 세상에 머무는 상태를 함께 가지고 있는 존재입니다.
  • 이런 개념은 불교의 "방편(方便)" 사상과 연결됩니다.
  • 예를 들어, 부처님도 모든 집착을 떠났지만, 중생을 위해 설법하고 교화하셨죠.
  • 이처럼 완전히 떠나지 않으면서도, 집착에 매이지 않는 상태가 보살의 특징입니다.

3. "It's not that I'm not obsessed, it's not that I'm not obsessed."

Bodhisattvas are beyond obsession, but they purposely remain in the world to educate sentient beings.

• In other words, a Bodhisattva is a liberating being, but it is a being who transcends obsession and stays in the world for common sorts.
• This concept is connected to the idea of "便" in Buddhism.
For example, the Buddha left all his obsessions, but he preached and inculcated for sentient beings.
• A bodhisattva's characteristic is that he does not leave completely and is not obsessed with it.

4. "세간의 일도 아니며 중생의 일도 아니다."

보살은 세상의 일(世間事)에 매여 있지도 않고, 중생의 개별적인 일에 얽매여 있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세상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것도 아닙니다.

  • 즉, **"초월하면서도 머무른다"**는 의미입니다.
  • 보살은 세속적 집착에서 벗어나 있으면서도,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세간에서 활동합니다.
  • 이런 개념을 "묘유(妙有)", 즉 공(空) 속에서도 중생을 돕는 실천적 존재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4. "It's not a matter of time, it's not a matter of common sorts."

Bodhisattvas are not bound by the 間 of the world, nor are they bound by the individual work of sentient beings,

But it's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world.

• This means **"transcendent yet stay"**.
• Bodhisattvas are free from secular obsessions, but they are still active in the world to save sentient beings.
• This concept can be described as "妙", that is, a practical being who helps common sorts even in the void.

정리하자면

이 구절은 보살이 단순히 한쪽 상태에 머무르지 않고, 모든 경계를 초월한 존재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 공덕은 무한하며, 중생을 구제하는 일도 끝이 없다.
  • 깨달음과 미혹, 집착과 무집착, 세간과 출세간을 초월한 존재가 바로 보살이다.
  • 보살은 모든 것을 초월하지만, 중생을 돕기 위해 세상에 머무른다.
  • 이것이 대승불교에서 강조하는 보살의 실천적 역할과 자비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in conclusion

This phrase shows that the Bodhisattva is not just one state, but one that transcends all boundaries.

• Merit is infinite, and there is no end to rescuing sentient beings.
• Bodhisattvas are beings that transcend enlightenment and fascination, obsession and non-obsession, and world and success.
• Bodhisattvas transcend everything, but stay in the world to help sentient beings.
• This is an important teaching that shows the practical role and benevolence of Bodhisattvas emphasized in Mahayana Buddhism.














How to Keep Healthy Eyes Even When You're Old

  How to Keep Healthy Eyes Even When You're Old How to Keep Healthy Eyes Even When You're Old 1. Have a...